티스토리 뷰
목차
안녕하세요!
서울시 다자녀가정 특화서비스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계신가요?
다자녀가정 특화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혜택 | 세부내용 |
교육비 지원 | 국가장학금 우대, 학자금대출 금리·한도 우대, 초중고 교육비·입학지원금 |
양육·출산 지원 | 첫만남이용권(둘째 300만원), 산후조리도우미, 아이돌봄서비스, 의료비 지원 |
교통·공공요금 감면 | KTX/SRT 운임 할인, 대중교통비 환급(K-패스), 전기·가스·난방비·주차장 감면 |
금융·세제 혜택 | 자동차 취득세 감면(최대 140만원), 대출 금리 우대, 신용대출 한도 확대 |
문화·복지 서비스 | 다둥이행복카드, 공공시설·문화시설 할인, 우대 멤버십 등 |
신청 안 하면 연간 수십만 원의 손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,
지금 바로 정확한 신청 방법과 필요서류를 확인해보세요.
이 글에서는 최신 정책, 실제 신청 절차, 그리고 실생활에서 바로 쓸 수 있는 팁까지 모두 안내합니다.
서울시 다자녀가정 특화 서비스
지원항목 | 대상 | 주요내용 |
다둥이행복카드 | 2자녀 이상 (막내 18세 미만) |
공공시설·교통· 문화·교육비 등 할인 |
의료비 지원 | 2자녀 이상 (막내 18세 이하) |
자녀 1인당 연 30만 원 |
가사돌봄 서비스 | 임산부, 다자녀, 맞벌이 등 |
연 70만 원 바우처, 6회 이용 |
공공요금 감면 | 2자녀 이상 | 전기·가스·수도요금 등 감면 |
교육·장려금 | 2자녀 이상 | 장려금·장학금·보육료 등 |
서울시 다둥이행복카드 신청방법
▣ 카드 유형별 신청 방법과 절차
카드 유형 | 신청 방법 | 필요 서류 | 발급 소요 기간 |
신용/체크카드 우리카드 신한카드 |
- 우리카드/신한카드 공식 홈페이지 또는 앱 - 서울지역 우리은행·신한은행 영업점 방문 - 온라인 신청 시 카드사 회원가입 필요 우리카드 https://www.wooricard.com 신한카드 https://www.shinhancard.com - 신용/체크카드: 카드사 포인트 적립, 청구 할인 등 추가 혜택 가능 |
- 신분증: 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 - 가족관계증명서 - 주민등록등본 |
1~2주 우편 발송 |
신분확인용 실물카드 |
- 주소지 관할 동주민센터 방문 - 신청서 작성 후 등기우편 수령 - 신분확인용 실물카드: 금융 기능은 없으나, 서울시 협력 업체에서 할인 및 적립 혜택 적용 |
- 신분증 - 가족관계증명서 - 주민등록등본 |
10~14일 등기우편 |
모바일카드 서울지갑 앱 |
- 서울지갑 앱 https://wallet.seoul.go.kr - 구글 플레이스토어/앱스토어에서 ‘서울지갑’ 앱 설치 - 회원가입 후 모바일카드 메뉴에서 신청 - 본인인증(공동인증서, 휴대폰 등) 필요 - 모바일카드(서울지갑 앱): 실물 없이도 모바일 제휴처에서 바로 사용 가능, 즉시 발급되어 편리 |
- 본인인증 (공동인증서, 휴대폰 등) |
즉시 발급 |
다자녀가정 의료비 신청방법
▣ 다자녀가정 의료비 지원 자격 요건
항목 | 세부내용 |
지원대상 | 2자녀 이상(막내 만 18세 이하) 가정 |
지원항목 | 신생아·미숙아·선천성 이상아 진료비, 예방접종비, 일반 진료비, 입원비, 신생아 난청 선별검사비 등 |
소득기준 | 소득과 무관하게 지원(일부 자치구는 소득기준 적용 가능) |
특이사항 | 자녀가 태아, 입양자녀라도 주민등록상 등재되어 있으면 포함 |
▣ 의료비 지원 신청방법
항목 | 세부내용 |
신청처 | 주소지 관할 보건소, 구청, 동주민센터(행정복지센터)에서 신청 일부 항목은 온라인(복지로) 신청 가능 다자녀 가족 국가지원제도 안내 : https://news.seoul.go.kr/welfare/archives/147531 복지로 다자녀가정 의료비 지원 : 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index.do 다산콜센터(서울시 대표번호) 120 관할 보건소 및 구청 복지부서 전화 또는 방문 문의 |
신청 시기 | 진료비 발생 후 1년 이내 신청(단, 항목별로 상이할 수 있으니 관할기관에 문의) |
필요서류 | - 진료비 영수증(세부내역 포함) - 가족관계증명서(자녀 수 및 관계 확인용) - 주민등록등본(주소지 확인용) - 신분증(신청자 본인 확인용) - 진단서(미숙아·선천성 이상아 등 해당 진료비 신청 시) - 통장사본(환급 계좌) |
신청 절차 | - 보건소 또는 동주민센터 방문 - 서류 제출 및 신청서 작성 - 관할기관에서 자격 확인 및 심사 - 지원금 계좌 입금(심사 후 1~2개월 내) |
▣ 의료비 지원 항목별 안내
지원 항목 | 지원 내용 | 신청처 |
신생아 난청 선별검사비 | 외래 선별검사비 등 실비 지원 | 주소지 보건소 |
미숙아 진료비 | 체중별 최대 1,000만 원 지원 | 주소지 보건소 |
선천성 이상아 진료비 | 1인당 최대 500만 원 지원 | 주소지 보건소 |
일반 진료비, 입원비 | 자녀 1인당 연 30만 원 실비 지원 | 보건소, 구청, 동주민센터 |
▣ 유의사항
- 일부 자치구는 셋째 이상, 5세 이하 등 추가 조건이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관할 보건소나 구청에 문의하세요.
- 자녀 및 보호자 모두 주민등록상 동일 주소지여야 하며, 전입신고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.
- 예산이 소진될 경우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.
- 중복 지원이 불가한 항목이 있으니, 신청 전 관할기관 안내를 꼭 확인하세요.
임산부 가사돌봄 서비스 신청방법
- 임산부 또는 출산 후 1년 이내 가정에 청소, 세탁, 설거지 등 일상 가사노동을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.
- 2025년에는 서울 전 자치구를 포함한 전국 주요 지자체에서 운영하며, 서울형 가사서비스의 경우 1가구당 연 70만 원 상당의 바우처가 지급됩니다.
▣ 지원대상 및 자격요건
지원요건 | 세부내용 |
임산부 가정 | 임신 3개월 이후 또는 출산 후 1년 이내 가정 |
맞벌이 가정 | 주 20시간 이상 근로, 12세 이하 자녀 양육 |
다자녀 가정 | 18세 이하 자녀 2명 이상(단, 12세 이하 자녀 1명 이상 포함) |
소득기준 |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(2025년 4인 가구 기준 월 10,976,000원) |
서울시 거주 | 주민등록상 주소지 기준 |
※ 유사 국가지원사업(서울형 가사서비스, 한부모가족 가사서비스 등)과 중복 지원 불가
▣ 온라인 신청
1. 서울맘케어 누리집에서 신청
순서 | 절차 | 세부내용 |
1 | 접속 | 서울맘케어 누리집에 접속합니다. 서울맘케어 누리집 바로가기 : https://www.seoulmomcare.com/main/main.do |
2 | 회원가입 및 로그인 | 본인 명의로 회원가입 후 로그인합니다. |
3 | 서비스 선택 | '가사서비스 신청’ 메뉴에서 원하는 서비스(가사돌봄, 산후조리경비 등)를 선택합니다. |
4 | 본인인증 | 휴대폰,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, 신용·체크카드 등으로 본인인증을 진행합니다. |
5 | 신청서 작성 | 온라인 신청서를 작성하고, 안내에 따라 증빙서류(주민등록등본, 임신확인서 등)를 파일로 첨부합니다. |
6 | 제출 및 확인 | 신청 완료 후 접수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|
7 | 심사 및 결과 안내 | 자격 심사 후 선정 결과는 문자 또는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 |
8 | 바우처 지급 | 선정 시 본인 명의 신용(체크)카드에 바우처 포인트가 지급됩니다. |
2. 정부24를 통한 온라인 신청(일부 지자체)
순서 | 절차 | 세부내용 |
1 | 접속 | 정부24에 접속합니다. |
2 | 회원가입 및 로그인 | 본인 명의로 회원가입 후 로그인합니다. |
3 | 서비스 검색 | ‘가사서비스’, ‘산후조리경비’ 등 키워드로 검색하여 해당 온라인 신청 메뉴로 이동합니다. |
4 | 신청서 작성 및 서류 첨부 | 신청서 작성 후 주민등록등본, 임신확인서 등 증빙서류를 첨부합니다. |
5 | 심사 및 결과 안내 | 자격 심사 후 문자 또는 홈페이지에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|
▣ 방문 신청
- 주소지 관할 동주민센터(행정복지센터)에 방문하여 신청서를 작성하고 구비서류를 제출합니다.
- 담당 공무원이 자격 및 서류를 확인한 후, 접수 및 심사가 진행됩니다.
- 선정 결과는 개별 문자 또는 전화로 안내됩니다.
▣ 필요서류 및 유의사항
- 신분증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)
- 주민등록등본(필수): 서울시 거주 및 자녀 나이 확인용 (최근 3개월 이내)
- 임신확인서(필수): 병원 발급, 임산부 수첩, 건강보험 임신출산진료비 신청서 등 중 택 1
- 소득증빙자료: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등(해당 시)
- 기타: 부, 모 세대 분리 시 가족관계증명서 추가 제출
▣ 신청기간 및 결과 안내
- 신청기간: 2025년 1월 20일 ~ 예산 소진 시까지(서울시 기준, 자치구별 상이할 수 있음)
- 결과 안내: 심사 후 개별 문자 또는 홈페이지 알림으로 선정 결과 안내
- 바우처 사용기한: 2025년 11월 30일까지(미사용 시 소멸)
- 유의사항: 동일 가구가 서울형 가사서비스, 한부모가족 가사서비스 등 유사 국가지원사업과 중복 지원은 불가합니다.
- 서비스 이용: 선정 후 바우처(카드 포인트) 지급, 서울맘케어 누리집에서 서비스 제공기관 예약 후 이용(1회 4시간, 총 6회)
▣ 선정 및 이용
- 자격 심사 후 개별 문자 통보
- 바우처 포인트 지급 및 카드 발송
- 서울맘케어 누리집에서 서비스 제공기관 예약 후 이용
다자녀가정 공공요금감면 신청방법
▣ 전기요금 감면 신청
항목 | 세부내용 |
지원대상 | 만 18세 이하 자녀 또는 손자녀가 3명 이상인 가구 |
감면내용 | 월 전기요금의 30% 감면(최대 16,000원 한도) |
신청방법 | - 온라인: 한전 사이버지점(https://cyber.kepco.co.kr) 로그인 → ‘요금 할인 신청’ 메뉴에서 다자녀가구 선택 후 신청 - 모바일: 한전 고객센터 앱(Kepco)에서 ‘복지할인’ 신청 - 오프라인: 한국전력공사 지사 방문 또는 우편/팩스 제출 |
전화 | 한전 고객센터 123번(지역번호 없이) |
필요서류 | 가족관계증명서, 주민등록등본, 신분증(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 시 일부 생략 가능) |
적용시점 | 신청한 다음 달 청구요금부터 할인 적용 |
참고 | 한국전력공사 사이버지점 바로가기 : https://online.kepco.co.kr/ |
▣ 도시가스요금 감면 신청
항목 | 세부내용 |
지원대상 | 만 18세 이하 자녀 또는 손자녀 3명 이상 가구 |
감면내용 | 동절기(12~3월) 월 18,000원, 하절기(4~11월) 월 2,470원 한도 할인 |
신청방법 | - 주민센터 방문: 주민등록지 동주민센터에서 신청 - 도시가스회사 방문/문의: 도시가스회사 고객센터 또는 홈페이지에서 신청 |
필요서류 | 가족관계증명서, 주민등록등본, 신분증 |
적용시점 | 신청 후 다음 달 고지분부터 적용 |
참고 | 한국도시가스협회 |
▣ 지역난방비 감면 신청
항목 | 세부내용 |
지원대상 | 만 18세 이하 자녀 또는 손자녀 3명 이상 가구 |
감면내용 | 월 4,000원 × 12개월 일괄 지원(지자체 및 공급사별 상이) |
신청방법 | 1. 한국지역난방공사 직접 신청 - 온라인: 한국지역난방공사 홈페이지(https://www.kdhc.co.kr)에서 ‘에너지 복지요금 지원신청’ 메뉴 이용 - 전화: 고객상담센터 1688-2488로 문의 및 신청 가능 - 우편/방문: 지역난방공사 고객센터에 지원신청서와 구비서류 제출 2. 주민센터 방문 신청(일부 지역) - 거주지 관할 읍·면·동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서와 구비서류 제출 - 주민센터에서 지역난방공사로 신청 내용 전달 및 접수 |
필요서류 | - 에너지복지 지원신청서(한국지역난방공사 양식) - 가족관계증명서(또는 주민등록등본) - 신분증 - 통장사본(지원금 입금 계좌) |
적용시점 | 신청 후 다음 달 고지분부터 적용 |
참고 | 서울에너지공사 |
지원절차 및 지급방식 | 신청 후 자격 및 거주기간 확인 매년 8~10월 사이에 1년치(최대 12개월분) 지원금이 신청 계좌로 일괄 입금 거주기간 산정은 주민등록표 기준, 해당 월 15일 이상 거주 시 1개월 인정 |
유의사항 및 팁 | 세대분리된 자녀·손자녀도 주민등록표상 가족으로 인정(가족관계증명서로 확인) 자격 및 주소 변동 시 반드시 지역난방공사에 통지해야 함 지원금은 소급 적용, 해당 연도 내 미신청 시 지원이 제한될 수 있음 도시가스와 지역난방은 별도 신청 필요 |
▣ 공영주차장 감면 신청
항목 | 세부내용 |
지원대상 | 2자녀 이상(막내 18세 이하) 가구(서울 등 일부 지자체) |
감면내용 | 주차요금 50% 감면(차량 사전 등록 시) |
신청방법 | 1. 온라인 자동감면 신청(권장) - 바로녹색결제 시스템(https://oksign.seoul.go.kr)에 접속합니다. - 회원가입 및 로그인 후, ‘다자녀가구 자동감면’ 메뉴에서 차량번호, 가족관계 등 정보를 입력합니다. - 등록이 완료되면 서울시 내 모든 공영주차장에서 주차요금 50%가 자동으로 감면됩니다. - 주의: 부모 각각 1대씩만 등록 가능하며, 차량 정보가 변경되면 반드시 재등록해야 합니다. 2. 현장 감면(카드 제시 방식, 예외적) - 차량 사전 등록을 하지 못한 경우, 기존처럼 주차장 출구에서 다둥이행복카드를 주차관리원에게 제시하면 50% 감면을 받을 수 있습니다. - 무인정산기에서는 바코드 인식 또는 관리원 호출 후 카드 제시가 필요합니다. |
필요서류 | 1. 온라인 자동감면 신청(권장) 가족관계증명서, 차량등록증, 신분증(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 시 일부 생략 가능) 2. 현장 감면(카드 제시 방식, 예외적) |
적용시점 | 차량 등록 즉시 |
기타 | - 서울시 직영 공영주차장(130여 개소) 및 자치구 운영 주차장 대부분 적용 - 일부 박물관, 미술관, 공원 등 부속주차장은 별도 기준이 적용될 수 있으니 현장 안내문 확인 필수 - 민영주차장, 사설주차장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. - 실사용자와 차량명의자가 다를 경우 감면이 제한될 수 있으니, 반드시 가족(부모) 명의 차량으로 등록해야 합니다. |
▣ 철도(KTX, SRT) 다자녀 할인 신청
항목 | 세부내용 |
지원대상 | 만 25세 미만 자녀가 2명 이상인 가족(코레일 멤버십 회원) 등록 가족 중 최소 3명(어른 1명 포함) 동반 탑승 시 적용 KTX, ITX-새마을, 무궁화호 등 코레일 전 노선 / SRT 별도 인증 필요 |
감면내용 | 2자녀 가정 30%, 3자녀 이상 가정 50% |
신청방법 | 1. KTX(코레일) 다자녀 할인 신청방법 - 코레일 멤버십 회원가입: 코레일 홈페이지(https://www.letskorail.com) 또는 코레일톡 앱에서 회원가입 - 가족정보 등록: 마이페이지 → 가족정보 등록 메뉴에서 가족관계증명서, 주민등록등본 등 증빙서류 업로드 - 온라인 인증: 정부24(https://www.gov.kr)에서 가족관계증명서 발급 후 첨부 - 오프라인 인증: 가까운 역 창구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, 가족관계증명서 등 서류 제출 - 인증 완료 후: 다자녀 할인 자격이 등록되면, 코레일 홈페이지·앱·역 창구에서 할인 승차권 예매 가능 - 예매방법: 등록 가족 모두의 이름이 기재된 1장의 승차권 발권, 신분증 지참 - 이용한도: 1일 2회, 1개월 8~10회(좌석 한정, 조기 마감 가능) - 유효기간: 최초 1회 인증 후 가족관계 변동 시까지 계속 적용(변동 시 재인증 필요) 2. SRT(수서고속철도) 다자녀 할인 신청방법 - SR 회원가입: SRT 공식 홈페이지(https://etk.srail.kr)에서 회원가입 - 다자녀 할인 등록: SRT 고객센터 또는 홈페이지에서 가족관계증명서 등 서류 제출 후 다자녀 회원 인증 - 예매방법: SRT 홈페이지, 앱, 역 창구에서 할인 승차권 예매(동반 탑승 필수) - 할인율: 2자녀 30%, 3자녀 이상 50%(일부 노선, 좌석 한정, 월 8~10회) - 유의사항: SRT는 코레일과 별도 인증 필요, 가족 모두 신분증 지참 필수 |
필요서류 | - 가족관계증명서(정부24 발급), 주민등록등본, 신분증 - 가족관계 변동 시(출생, 전출입 등) 재인증 필요 - 할인은 등록 가족만 사용 가능, 타인 사용 시 할인금액 환수 및 자격 정지 - 다른 할인(청소년, 경로, 국가유공자 등)과 중복 불가 - 인기 시간대는 좌석 한정,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미리 예매 권장 |
적용시점 | 예매 즉시 할인 적용 |
▣ 통신비 감면 신청
항목 | 세부내용 |
지원대상 | 일반적으로 2자녀 이상(통신사별로 3자녀 이상, 만 19세 이하 기준일 수 있음) 가구의 부모 또는 보호자 |
감면내용 | 휴대폰 요금 최대 25% 할인, 인터넷·IPTV 결합 시 월 최대 8,500원 추가 할인, 키즈 콘텐츠 무료 제공, 멤버십 포인트 추가 지급 등 |
신청방법 | 1. SK텔레콤(SKT) 다자녀 할인 신청방법 - 온라인 신청: T world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 접속 - T world 홈페이지 바로가기 : https://www.tworld.co.kr/web/home - ‘가족결합’ 또는 ‘다자녀 할인’ 메뉴 선택 후 가족관계증명서 등 서류 파일 업로드, 본인 인증 후 신청 - 오프라인 신청: SKT 대리점 또는 T플라자 방문, 신분증과 가족관계증명서(또는 주민등록등본) 지참 - 가족 전체가 SKT 회선(휴대폰, 인터넷, IPTV 등)을 이용 중이어야 하며, 자녀 명의 회선도 결합 대상에 포함 - 회선 수가 많을수록 할인 폭이 커집니다 2. KT, LG U+ 등 타 통신사 신청방법 - 온라인 신청: 각 통신사 공식 홈페이지(예: KT, LG U+) 또는 앱에서 ‘가족결합’, ‘다자녀 할인’, ‘복지할인’ 메뉴 선택 - KT 신청 바로가기 LG U+ 바로가기 - 오프라인 신청: 통신사 대리점 방문, 신분증과 가족관계증명서(또는 주민등록등본) 제출 - 일부 통신사는 복지로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한 복지할인 신청도 지원 복지로 바로가기 : 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index.do |
필요서류 | 가족관계증명서 또는 주민등록등본, 신청자 신분증 |
기타 | - 회선 조건: 가족 전체가 동일 통신사 회선을 이용해야 결합 및 할인 폭이 극대화됨 - 자녀 기준: 통신사별로 2자녀 또는 3자녀 이상, 만 19세 이하 등 조건이 다를 수 있으니 반드시 신청 전 확인 - 중복할인: 가족결합, 청소년 요금제, 복지할인 등과 일부 중복 적용 가능(단, 요금제별 제한 있음) |
▣ 자동차 취득세 감면 신청
항목 | 세부내용 |
지원대상 | 2자녀 이상(만 18세 이하 자녀 기준) 가구 |
감면내용 | 2자녀 가구 50% 감면, 3자녀 이상 가구 100% 감면(최대 140만원 한도) 승용차, 승합차, 화물차, 이륜차 등(지자체별로 차종 제한 가능) |
신청시기 | - 차량 등록 전 또는 등록과 동시에 반드시 신청해야 하며, 이후 소급 적용은 불가합니다. - 차량 구매 → 등록 직전 단계에서 감면 신청을 완료해야 합니다. - 딜러가 대행해주는 경우도 있으나, 본인이 직접 서류 준비 및 감면 적용 여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. |
신청장소 | - 관할 시·군·구청 세무과 또는 차량등록 사업소에서 신청 - 일부 지자체는 온라인 신청도 지원(지자체 홈페이지, 정부24 등)하지만, 대부분 방문 접수를 기본으로 합니다. |
신청절차 | -차량 구매 후 차량등록 사업소 또는 관할 시·군·구청 세무과 방문 -감면 신청서 및 관련 서류 제출 -담당 공무원이 서류 및 자격 확인 후 감면 적용 -취득세 감면된 금액으로 납부 후 차량 등록 완료 -온라인 신청 시: 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정부24(https://www.gov.kr)에서 안내에 따라 서류 업로드 및 신청 |
필요서류 | -감면 신청서(차량등록 사업소 또는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) -자동차매매계약서 또는 차량구매영수증 -가족관계증명서(상세/전체, 최신 발급본, 부모-자녀 관계 명시) -주민등록등본(동일 세대 여부 확인용, 최근 3개월 이내) -신분증(신청자 본인 확인용) -차량등록 관련 서류(차량등록증, 번호판 등, 등록 시점에 따라 추가) -지자체별 추가 요청 서류(예: 자동차세 납부 확인서, 자녀 출생증명서 등) |
기타 |
-차량 등록 전 반드시 감면 신청을 해야 하며, 사후 소급 적용은 불가합니다.
-가족관계증명서는 부모-자녀 관계가 명확히 드러나는 최신본을 제출해야 하며, 세대분리된 자녀도 포함됩니다. -지자체별로 추가 서류나 차종 제한, 감면 한도 등이 다를 수 있으니, 반드시 거주지 지자체 홈페이지나 담당 부서에 사전 문의하세요. -딜러 대행 시에도 본인이 직접 감면 적용 여부 및 서류 누락이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 |
▣ 교육급여 및 교육비 지원 신청
항목 | 세부내용 |
지원대상 |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 가구의 초·중·고등학생(소득·재산 조사 후 최종 선정) |
지원내용 | 교육활동지원비(연 최대 80만 원), 고등학생 학비,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, 교과서·인터넷비 등(학교급별 차등) |
신청기간 | 집중 신청: 2025년 3월 4일 ~ 3월 21일(연중 신청 가능, 학기 초 신청 시 최대 금액 지원) |
신청방법 | 온라인 : 복지로 또는 교육비원클릭 시스템에서 신청서 작성 및 서류 제출 - 복지로 바로가기 : 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index.do - 교육비 원클릭 시스템 바로가기 : https://oneclick.neis.go.kr/nxui/index.html 방문 : 거주지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(주민센터) 방문, 신청서 및 서류 제출 |
신청절차 | 1. 복지로/교육비원클릭 또는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2. 신청서 및 필요서류 제출(온라인은 파일 첨부, 오프라인은 현장 제출) 3. 소득·재산 조사 및 심사(행정기관에서 자동 진행) 4. 선정 결과 개별 통보(SMS, 우편, 홈페이지 등) 5. 수급자로 확정 시 교육활동지원비 바우처 별도 신청(한국장학재단 e-바우처 누리집 등) 6. 바우처 포인트 지급(신용·체크카드, 간편결제, 전용카드 등) |
필요서류 | 사회보장급여 신청서(온라인/현장 작성 가능) 주민등록등본(정부24에서 발급 가능) 가족관계증명서(필요 시) 소득금액증명원(근로소득자: 국세청 홈택스)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(사업소득자: 국민건강보험공단)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기타 주거 형태 등 증빙서류(필요 시) ※ 온라인 신청 시 마이데이터 연동을 통해 일부 서류 자동 제출 가능 |
바우처 지급 및 사용 |
- 교육활동지원비는 바우처(이용권) 형태로 지급 - 수급자로 확정된 후 한국장학재단 e-바우처 누리집(https://e-voucher.kosaf.go.kr)에서 신청 및 지급수단(카드, 간편결제 등) 선택 - 기존 수급자는 자격 유지 시 자동 지급(일부 전용카드 등은 재신청 필요) |
기타 | 매년 새롭게 신청해야 하며, 기존 수급자도 자동 연장이 아님(일부만 자동) 서류 누락 시 선정이 지연될 수 있으니, 마이데이터 연동 또는 현장 제출로 빠짐없이 준비 교육활동지원비 외에도 방과후학교, 교육정보화(PC·인터넷), 교과서비 등 추가 지원 동시 신청 가능 선정 결과 및 지급 내역은 복지로, 교육비원클릭, 교육청 홈페이지 등에서 확인 |
다자녀가정 특화서비스 신청방법 핵심요약
지원 분야 | 주요 혜택/내용 | 신청 방법/경로 | 문의처 |
교육비 지원 |
국가장학금 우대, 학자금대출 금리·한도 우대, 초중고 교육비·입학지원금 | 학교, 교육청, 복지로, 주민센터 | 학교, 교육청, 복지로 |
양육·출산 지원 | 첫만남이용권(둘째 300만원), 산후조리도우미, 아이돌봄서비스, 의료비 지원 | 복지로, 국민건강보험, 보건소, 주민센터 | 복지로, 건강보험공단, 보건소 |
교통·공공요금 감면 | KTX/SRT 운임 할인, 대중교통비 환급(K-패스), 전기·가스·난방비·주차장 감면 | 코레일/SRT, 바로녹색결제, 한전, 도시가스사, 에너지공사, 주민센터 | 코레일, SRT, 한전, 에너지공사, 주민센터 |
금융·세제 혜택 | 자동차 취득세 감면(최대 140만원), 대출 금리 우대, 신용대출 한도 확대 | 시청 세무과, 은행, 금융기관, 정부24 | 정부24, 지자체, 은행 |
문화·복지 서비스 | 다둥이행복카드, 공공시설·문화시설 할인, 우대 멤버십 등 | 다둥이행복카드 홈페이지, 서울지갑 앱, 주민센터 | 다둥이행복카드 홈페이지, 주민센터 |
FAQ
Q1. 다자녀가정 특화 서비스는 누구나 신청할 수 있나요?
A. 2025년부터 2자녀 이상(막내 18세 이하) 가정이면 대부분의 특화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.
Q2. 온라인과 오프라인 신청 중 어떤 방법이 더 빠른가요?
A. 온라인 신청(서울시 복지포털, 다둥이행복카드 홈페이지, 서울맘케어 등)이 더 빠르고 간편합니다. 단, 서류 준비가 어려우면 동주민센터 방문도 가능합니다.
Q3. 다둥이행복카드와 공공요금 감면은 중복 신청이 가능한가요?
A. 네, 서비스별로 중복 신청이 가능합니다. 각각 별도로 신청해야 하며, 자격 요건이 다를 수 있습니다.
Q4. 신청 후 언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?
A. 다둥이행복카드는 즉시 또는 1~2주 내 발급, 공공요금 감면 등은 신청 후 익월부터 적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Q5. 서비스별로 필요한 서류가 다른가요?
A. 네, 서비스마다 요구하는 서류가 다르니 반드시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.
Q6. 자녀가 성인이 되면 혜택이 중단되나요?
A. 막내가 만 18세를 초과하면 대부분의 다자녀 특화 서비스는 중단됩니다.
Q7. 신청이 반려된 경우 재신청이 가능한가요?
A. 서류 보완 후 재신청이 가능합니다. 반려 사유를 확인하고 필요한 서류를 추가 제출하세요.
** 함께 보면, 좋은 글
아동수당 지원금 신청대상 신청방법
안녕하세요. 아동수당에 대해 알아보고 계신가요? 아동수당은 대한민국의 복지제도로, 만 0세부터 만 7세(8세 생일 전 달까지, 총 95개월) 모든 아동에게 매월 10만 원이 지급됩니다. 2025년 기준 아
sub1.magicanimaux.com
주택 임대차계약신고제 신고대상
주택 임대차계약 신고제! 미신고 시 최대 30만 원의 과태료!거짓 신고시에는 최대 100만 원!! 2025년 기준, 주택 임대차 계약신고제의 신고대상은 더욱 명확하고 세분화되었습니다. 신고대상 누락
sub3.magicanimaux.com
'국가지원금 > 서울시지원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울시 출산지원금 신청방법·절차 (0) | 2025.07.04 |
---|